반응형
1. 송기마스크
- 산소농도가 18% 미만이거나
- 유해물질농도가 2%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할 때 착용
2. 종류 및 사용범위
1) 호스마스크
폐력흡인형 | - 착용자의 폐력으로 호스 끝에 고정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를 통해 흡입하는 구조 - 호스는 원칙적으로 안지름 19mm이상, 길이 10m 이하여야 한다. |
송풍기형 | - 전동 또는 수동 송풍기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로 보내는 구조 - 송기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와 송풍기에 교환필터를 갖춰야 한다. - 안면부로도 공기를 보내 송풍기가 사고로 정지 됐을때 폐력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에어라인 마스크 | 1. 일정유량형 - 압축공기관, 고압 공기용기, 공기압추기 등으로부터 중압호스와 안면부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구조 - 중간에 송기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 압축공기 중의 분진과 기름 미스트등을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갖춰야 한다. 2. 디맨드형 및 압력디맨드형 - 일정유량형과 같은 구조로서 공급밸브를 갖추고 착용자의 호흡량에 따라 안면부로 내로 송기한다. |
복합식 에어라인 마스크 | 1. 디맨드형 및 압력디맨드형 - 보통 때는 디맨드형 또는 압력디맨드형을 사용하다가 급기 중단 등 긴급할때나 작업상 필요할 경우에는 고압공기용기에서 공기를 받아 공기호흡기로 사용하는 구조 - 고압공기용기와 폐지밸브 KSP 8155 규정을 따른다. |
3. 사용대상 작업
- 산소가 결핍되거나 농도를 모르는 장소
- 쇼트작업같이 고농도 분진이나 유해물질의 증기,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
- 강도가 높거나 장시간 하는 작업
- 유해물질의 종류나 농도가 불분명한 장소
- 방진, 방독마스크 착용이 부적절한 장소
4. 선정 시 유의사항
- 격리되거나 행동반경이 크고 공기공급원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작업할 때는 공기호흡기를 지급하고 기능을 점검한다.
- 공기가 오염된 곳에서는 폐력흡인형, 수동형은 사용하지 않는다.
- 위험도가 높은곳에서는 폐력흡인형 사용을 피한다.
- 화재 폭발 위험지역에서는 방폭형을 사용한다.
5. 사용방법 및 관리
- 여과장치로 기름, 분진, 유해물질을 걸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
- 공급 공기의 압력은 1.75kg/cm2 이하가 좋으며, 여러명이 동시에 사용할 때는 압력을 조절한다.
- 실린더 내 공기잔량을 점검해 알맞게 대처한다.
- 수동 송풍기형은 장시간 작업할 때 2명 이상이 교대한다.
- 작업 전에 도구점검, 착용법지도, 착용 상태 확인을 한다.
- 작업 전에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 작업중 다음과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즉시 대피한다.
■ 즉시 대피 상황 |
- 송풍량감소 - 호흡공기의 온도 상승 - 가스나 기름 냄새 발생 - 기타 이상 상태 - 호흡공기에 수분이 섞임 |
6. 착용방법
반응형
'3.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 안전 관리수칙: 인화성 고체 (0) | 2021.06.09 |
---|---|
위험물 안전관리 수칙: 폭발성 물질 (0) | 2021.06.09 |
작업환경측정: 작업환경 측정방법 (0) | 2021.06.02 |
개인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0) | 2021.05.27 |
사고대비물질 지정대상 및 관리 (0) | 2021.05.2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