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폭발성 물질의 정의 및 특성
■ 폭발성 물질 (Explosive substance)
- 자체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주위환경에 손상을 줄수 있는 온도, 압력 및 속도를 가진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을 의미하며, 화공품에 사용되는 물질은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폭발성 물질에 포함된다.
- 폭발성 물질은 스스로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가열, 마찰, 충격 또는 점화원에 접근시킬 경우 분해되어 액체 또는 기체가 순간적으로 기체 상태로 급변하고, 열이 발생하여 수백에서 수천배로 부피 팽창 및 격렬한 충격파와 굉음을 발생킨다.
2. 주요 폭발성 물질 목록
No. | 물질명 | CAS No. |
1 | 나이트로셀룰로스 | 9004-70-0 |
2 | 피크린산 | 88-89-1 |
3 | 암모늄 과염소산 | 7790-98-9 |
4 | 시클로 나이트 | 121-82-4 |
5 | 요소 질산염, 습윤 | 124-47-0 |
6 | 나이트로글리세린 | 55-63-0 |
7 | 에틸렌글리콜 다이나이트레이트 | 628-96-6 |
※ 공단화학물질정보에서 CAS No.로 MSDS를 검색하시면 상세한 물질정보가 제공됩니다.
3. 폭발성 물질 취급시 안전관리 수칙
■ 취급요령
- 점화원(화염, 불꽃) 접근을 엄금하고, 가열/마찰/충격 등 금지
- 강산화제, 강산류, 금속산화물 등의 이물질 혼입금지
- 정전기 및 낙뢰 등에 의한 폭발 방지를 위해 접지, 방폭형 전기기계, 기구 사용 및 피뢰 장치 설치
■ 보관 요령
- 인전 시설과 방호벽 등을 설치하여 격리하고 다른 위험물과 동일한 저장소에 저장 금지
- 화약류저장소는 저장량에 따라 저장소 외벽으로부터 보안 건물 사이에 보안거리 유지
- 가급적 소분하여 저장하고 용기의 파손 및 누출 방지 조치 실시
- 환기 및 건조상태를 유지하고 직사광선을 차단
- 저장시설은 사고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에서 정한 규정 준수
■ 소화방법
-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가급적 무인방수포를 사용(불가피한 경우 엄폐 조치)
- 소화전, 물 분무, 폼 건조 소화 분말, 모래 등 사용하여 소화
-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므로 물을 다량 사용하는 방법이 적정함
- 건조분말(dry chemical)과 CO2,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할론 1211, 1301)는 사용금지
반응형
'3.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작업자를 위한 소화기 종류와 소화약제 (2) | 2021.06.10 |
---|---|
위험물 안전 관리수칙: 인화성 고체 (0) | 2021.06.09 |
개인보호구: 송기식 마스크 종류 및 사용범위 / 착용방법 (0) | 2021.06.04 |
작업환경측정: 작업환경 측정방법 (0) | 2021.06.02 |
개인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0) | 2021.05.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