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공정능력이란?
안정상태(관리상태)에 있는 공정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품질 수준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2. Cp
분포 중심치의 위치에는 상관없이 공정산포 6σ와 규격폭의 관계
1) 간이 계산법에 의해 Cp를 구하는 방법
- 표준편차(STDEV)를 구한다.
- 공정관리 Spec으로 부터 상한관리와 하한관리를 구한다.
- 아래의 Cp 계산법을 활용하여 공정능력 지수를 계산한다.
2. Cp의 개념
설계 허용범위 (Design Tolerance) |
제품설계의 목표는 제품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게 하면서 허용범위를 최대한 증가시키는 것 |
공정능력 (Process Capability) |
공정설계의 목표는 제품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특성을 재생산하는 공정에서 변동을 최소화하는 것 |
3. Cp의 해석
Cp > 1.0인 경우 | 자연 공정 분포는 규격치를 만족하는 능력 예) Cp=1.764 |
![]() |
Cp = 1.0인 경우 | 자연 공정 분포는 규격치 한계내 예) Cp=1.038 |
![]() |
Cp < 1.0인 경우 | 자연 공정 분포는 규격치를 만족하는 능력이 없다. 예) Cp=0.543 |
![]() |
※ Cp를 높게 하는 방법은 제품 설계 과정의 Design Tolerace를 높이는 설계 Margin 확보 및 공정의 산포를 줄이기 위한 공정 설계 개선 활동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다.
반응형
'1. 측정 및 분석 > 측정분석시스템_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룸의 특성 및 설계 시 유의 사항 (0) | 2022.06.18 |
---|---|
Cpk값에 따른 예상 불량율 (0) | 2022.06.08 |
방법검출한계 계산식 Method Detection Limit (4) | 2022.05.31 |
검출한계 (Limit of Detection, LOD): 검출한계 계산식 (1) | 2021.11.21 |
측정 및 분석: 검출한계 (Limit of Detection / LOD) (0) | 2021.05.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