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검사란 물품을 어떤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품질판정 기준과 비교하여 각 물품에 대해 양품, 불량품을 판정하고 혹은 LOT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일이다.

 

1. 검사의 목적

공정능력을 측정하는데 이는 제조 작업과 품질 특성의 관리, 품질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양, 불의 구별
  • 공정의 변화 판단
  • 제품의 결점정도 판단
  • 측정기기 정밀도 측정
  • 검사원의 정확도
  • 제품설계 필요정보 확인

 

2. 검사의 종류

 

검사의 종류

 

 

 1) 검사를 행하는 단계에 의한 분류

수입검사 생산에 필요한 재표/부품 또는 반제품을 인수할때, 그 물품의 인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검사
공정검사 제조공정 중 반제품 또는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보내도 좋은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검사
완성품 검사 제조공정의 최종단계에서 완성된 제품이 시방을 만족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출하검사 완성된 제품을 최종적으로 제품의 시방을 만족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관리시험 양산품에 관한 재료, 부품, 제품 등을 시험/검사하여 공정의 관리상태 혹은 공정품질능력의 유/무를 판정하여 문제점에 대해서 관리체계의 개선 또는 품질개선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시험
초회검사 부품, 재료, 반제품, 제품등의 첫번째를 대상으로 행하는 검사

 

 2) 검사방법에 의한 분류

전수검사 각 물품에 대해 모조리 검사하는 것으로 100% 검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수검사는 선별과 거의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로트의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하는 일이다.
발취검사 LOT에서 이미 정해진 발취방식에 따라 sample을 뽑아 내어 시험해 보고 그 결과를 LOT판정기준과 비교하여 그 LOT의 합/불을 판정하는 검사
무검사 Sample등에 의한 시험을 직접하지 않고, 전공정이나 파는쪽으로부터 품질정보나 기술정보에 의해 LOT의 합/불을 판정하는 검사
자주검사 공정에서 작업자가 작업 가공물을 수시로 시행하는 검사

 

 3) 검사의 성질에 의한 분류

비파괴 검사 물품을 시험해도 그 상품가치나 기능에 손상이나 변경이 가해지지 않는 검사
파괴 검사 물품을 파괴하고 않고서는 검사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검사
관능 검사 인간의 감각으로 품질을 평가/판정하는 검사

 

3. 검사의 계획과 설계

합리적인 검사업무를 위해선, 검사계획을 충분히 검토하고 표준화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품질관리와 마찬가지로 P.D.C.A의 관리 싸이클에 의해 목표를 명확히 하고, 목표달성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나 정보를 해석하여 검사에 대한 계획과 설계를 착수한 후 계획대로 실행 되도록 표준화 시킨다. 마지막으로 계획대로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한다.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4. 왜 검사를 실시하는가?

  • 어느 정도의 품질보증이 있어야 하는가
  • 어느 정도의 규모와 비용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 검사 인원, 설비, 방법 등 어느 정도의 보증을 목표로 설정해야 하는가

 

5. 무엇을 검사할 것인가?

  • 검사의 대상품목을 설정한다. 재료, 부품, 반제품 혹은 제조부문에서 생산되는 조립품, 반제품, 제품의 모든 품목을 검사한다는 것은 경제적, 시간적으로절대 불가능 하다. 따라서 제품의 중요성이나 User요구 품질 검사비용등 효과를 고려해서 검사대상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 검사일정 계획을 세운다. 신제품 생산인 경우에는 설계를 마쳤을 때에 시작품, 양산품, 본격생산의  각 단계에서 계획검사를 세워 검사를 실시한다. 일정에 맞추어 검사설비나 지그, 공구를 준비하는 일정을 계획한다. 검사규격, 한도견본 등 표준류를 준비한다.

 

6. 어디서 검사를 실시하는가?

  • 검사하는 위치를 정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수입검사를 행하는 장소, 공정검사나 중간검사의 경우에는 정위치 검사인가 순회 검사인가를 반드시 정해 두어야 한다.

 

7. 누가 검사를 실시하는가?

  • 검사업무의 분담을 정한다. 검사에 필요한 작업을 어떠한 조직으로 어떻게 책임범위를 나누어 담당하는가를 정한다. 제조부문속에 검사부문을 두느냐를, 그 공장의 규모나 작업의 성질 또는 현장의 환경조건 등을 고려해서 설정한다.
  • 검사원을 설정한다. 검사.시험작업에 필요한 공수(작업량)를 계산해서 검사원수를 계획한다. , 측정이나 판정작업을 착오 없이 이행할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가, 적성이나 기량을 테스트하여 검사원의 능력을 파악해서 선정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