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계적 공정관리(SPC)란?
● S(Statistical) : 통계적 자료와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 P(Process) : 품질 변동의 원인과 공정의 상태(능력)를 파악하고
● C(Control) : 품질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활동
▶ SPC 와 SQC 의 차이
→ SPC : 예방활동(Prevention)에 중점
- 공정능력, 관리도, QC 7 Tools 등
→ SQC : 탐지활동(Detection)에 중점(검사)
- 검추정, 샘플링(단순, 취락, 2단계), 실험계획법 등
2. 공정(Process)이란 ?
- 원하는 산출물(Output=제품, 서비스)을 얻기 위해, 투입요소(Input=4M)를조합하는 곳.
- 산출물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투입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킨다.

SPC 개론 및 시스템 구축 시 고려사항
1. 품질의 개념 변화 구분 종래의 개념 현재의 개념 품질의 정의 양호성, 고객만족 요구조건에 적합 품질경영 시스템 사후평가, 검사에 의한 품질보증 사전예방 품질의 달성기준 불량률 다소 허
wahf10.tistory.com
3. 관리(Control) 란 ?
관측/측정, 비교, 조사, 변화의 4가지 행위

→ 공정관리는 공정의 중심치와 산포 관리, 제품관리는 산출물의 규격적합 여부
4. 통계
품질 특성치의 측정 또는 분석 목적에 따라 Data의 종류가 달라진다.

종류 | 적용 범위 |
연속형 | 제조: Cycle time, 중량, 길이, 속도, 전압, 제품의 치수 비제조: 전화시간, 배달시간, 직원나이, 직원체중, 미팅시간 |
이산형 | 제조: 불량률, 납기 준수율, 결점률, 설비 오작동 건수, 장비 고장률 비제조: 결근율, 이직률, 산재 사고 건수, 홈 페이지 방문자 수 |
통계적 공정관리(SPC); 관리도의 개념
1. 관리도의 정의 관리도란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값에 관해 그린 그래프로 공정을 관리상태로 유지하고 공정의 관리사태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계적 기법으로서, 관리도 기
wahf10.tistory.com
'1. 측정 및 분석 > 통계적 공정관리_S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적 품질관리와 관리도 작성단계 및 해석 (0) | 2022.06.15 |
---|---|
SPC 개론 및 시스템 구축 시 고려사항 (0) | 2022.06.15 |
샘플링(Sampling)검사의 정의와 필요한 이유 (0) | 2022.06.11 |
통계학과 통계적 사고방식 (1) | 2021.04.27 |
통계적 공정관리(SPC); 관리도의 개념 (2) | 2021.04.2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