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학의 기초
1) 원자량과 분자량
①원자량: 질량수 12인 탄소원자 (C12)를 기준으로 정하고 이것과 비교한 다른 원자의 상대적 질량값을 말한다.
▶ 탄소 1g 원자 = 탄소 12g = 탄소원자 6.02 x 10^23 개 (아보가드로 수)
②분자량: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량의 합으로 표시한다.
-1원자 분자: 1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 Ar, He, Ne 등)
-2원자 분자: 2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 H2, O2, N2, CO 등)
-3원자 분자: 3개ㅢ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 O3, H2O, CO2 등)
③ 원소기호 및 원자량, 분자량
호칭 | 수소 | 헬륨 | 탄소 | 질소 | 산소 | 나트륨 | 황 | 염소 | 아르곤 |
원소기호 | H | He | C | N | O | Na | S | Cl | Ar |
원자량 | 1 | 4 | 12 | 14 | 16 | 23 | 32 | 35.5 | 40 |
분자기호 | H2 | He | C | N2 | O2 | Na | S | Cl2 | Ar |
분자량 | 2 | 4 | 12 | 28 | 32 | 23 | 32 | 71 | 40 |
▶ 공기의 평균분자량 계산: 공기의 조성(부피%)이 질소 78%, 산소 21%, 아르곤 1%로 되어 있으므로
M=(28 x 0.78) + (32 x 0.21) + (40 x 0.01) = 28.93 = 29
즉, 공기 1g mol이 차지하는 질량은 약 29g이고, 부피는 22.4L 이다.
2. 아보가드로의 법칙
모든 기체 1g분자는 표준상태(0도, 1기압)에서 22.4 L의 부피를 차지하며, 그 속에는 6.02x10^23개의 분자가 들어 있다.
2. 기체의 특성
① 보일의 법칙(Boyle's law)
기체의 온도(T)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 모든 기체의 부피(V)는 압력(P)에 반비례한다. 즉T(k)=일정할 때, 관계식 V∝1P ,
P1 V1 = P2 V2
② 샤를의 법칙(Charle's law)
압력(P)이 일정할 때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온도가 1도 증가함에 따라 0도때의 부피보다 1/273씩 증가한다. 즉 일정한 압력하에서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관계식: V∝T, V=kT, VTk
③ 보일-샤를의 법칙
어떤 기체라도 온도가 일정하면 보일의 법칙이 성립되고, 압력이 일정하면 샤를의 법칙이 성립된다. 그러므로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변하면 보일-샤를으 법칙이 성립된다.
즉, 보일-샤를의 법칙은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
P1=변하기 전의 절대 압력 P2=변한 후의 절대압력
V1=변하기 전의 부피 V2=변한 후의 부피
T1=변하기 전의 절대온도(K) T2=변한 후의 절대온도 (K)
④ 이상기체의 법칙(Ideal Gases's law; 완전가스)
▶이상기체의 성질
-보일/샤를의 법칙을 만족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따른다
-내부에너지는 체적에 무관하며 온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줄의 법칙이 성립한다.)
-비열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기체의 분자력과 크기도 무시되며 분자 간의 충돌은 완전 탄성체이다.
관계식 해석: 보일-샤를의 법칙에 의하여 일정량의 기체의 PVT=K 의 값은 일정하다. 압력을 1atm, 온도를 ℃(273K)라 하면 1mol의 기체는 22.4L의 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식에 대입하면 k의 값이 구해진다.
PVT= 1atm × 22.4L 273K= 0.082LㆍatmmolㆍK=R
PV = RT--------------------------------------------------------(1) 기체 1mol의 관계식
이때 R를 기체상수이며 또한, n mol의 기체는 표준상태에서 22.4 X n(L)이 되므로
PVT= 1atm × 22.4L × n273K = 0.082×n = nR
*PV = nRT-----------------------------------------------------(2) 기체 n mol의 관계식
*STP(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구분 | 이상기체 | 실제기체 |
분자의 크기 | 질량은 있으나 부피가 없다 | 기체에 따라 다르다 |
분자간의 인력 | 없다 | 있다 |
고압,저압 | 액화, 응고되지 않는다 | 액화, 응고된다 |
0K (-273 ℃) | 기체부피 0이다 | 응고되어 고체로 된다 |
보일/샤를의 법칙 | 완전히 적용된다 | 근사적으로 적용된다 |
⑤ 증기압(vapor pressure)
어떤 물질의 증기압은 액상 물질 위의 기체상 중 물질의 분자의 의해 작용한 부분압이다. 물의 증기압은 물의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액체 물의 양은 문제되지 않는다. 물이 뜨거울수록 증기압이 크다. 물의 온도가 알려져 있으면 물의 적절한 증기압은 증기압표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포집하려는 기체의 부분압은 물의 증기압을 포집하려는 용기내부의 전체 압력에서 빼서 구한다.
'2. 산업용 가스 및 특수가스 > 가스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기율표란? 주기율표 의미 / 무료 이미지 주기율표 다운로드 (1) | 2021.05.12 |
---|---|
폭발한계 : 가스별 폭발한계 및 계산법 (0) | 2021.05.06 |
가스일반: 가스의 분류 / 가스의 성질에 따른 분류 (0) | 2021.05.04 |
가스일반: 비중, 증기압이란? (0) | 2021.05.04 |
CGA 밸브 규격 / 실린더 밸브 규격 / CGA connector (1) | 2021.04.2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