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압가스의 정의
1)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 압력)이 1MPa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MPa이상이 되는 것 또는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1MPa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이다. (아세틸렌가스를 제외한다)
2)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 Pa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MPa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MPa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압력이 0.2MPa이 되는 경우에 온도가 35도 이하인 액화가스
4)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 Pa을 초과하는 액화가스 중 액화시안화수소, 액화브롬화메탄 및 액화산화에틸렌가스
2. 고압가스의 분류
1) 상태에 따른 분류
◆ 압축가스
비등점이 극히 낮거나 임계온도가 낮아 상온에서 압력을 가하여도 액화되지 않는 가스로서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는 있는 것
종류: He, H2, Ne, N2, CO, F2, Ar, O2, NO, CH4 등
◆ 액화가스
기압, 냉각에 의하여 액체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대기압에서 비점이 40도 이하 또는 상용의 온도 이하인 것
종류: C3H8, C4H10, Cl2, NH3, CO2, C2H4O, HCN, H2S 등
◆ 용해가스
아세틸렌과 같이 용제 속에 가스를 용해시켜 취급되는 고압가스
2) 연소성에 의한 분류
◆ 가연성 가스
가연성 가스란 공기와 일정량 혼합되어 있는 경우 점화원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 및 폭발이 일어나는 가스입니다.
폭발한계(공기와 혼합된 경우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공기 중 가스농도의 한계를 말함)의 하한이 10% 이하인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이상의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하한이 낮을수록 상한과 하한의 폭이 클수록 위험한 가스라 할 수 있습니다.
하한이 낮을 경우 가스가 조금만 누출되어도 연소나 폭발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하한이 높을 경우 많은 양의 가스가 누출되어야 연소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조연성 가스
산소, 공기등과 같이 다른 가연성물질과 혼합되었을 때 폭발이나 연소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가스를 말합니다.
◆ 불연성 가스
불연성가스는 N2, Ar, CO2 등이며, 그 특징을 보면 스스로 연소하지 못하며, 다른 물질을 연소시키는 성질도 갖지 않는 가스, 즉 연소와 무관한 가스입니다.
◆ 독성가스
인체에 유해성이 있는 가스를 말하며, 법적으로 허용농도가 5000ppm 아하인 가스입니다.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불소, 염소, 브롬화메탄,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벤젠, 포스겐 등
'2. 산업용 가스 및 특수가스 > 가스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한계 : 가스별 폭발한계 및 계산법 (0) | 2021.05.06 |
---|---|
가스일반: 가스의 기초 법칙 (0) | 2021.05.05 |
가스일반: 비중, 증기압이란? (0) | 2021.05.04 |
CGA 밸브 규격 / 실린더 밸브 규격 / CGA connector (1) | 2021.04.24 |
가스의 기초 및 압력이란? (2) | 2021.02.09 |
최근댓글